2025
씨 뿌림의 법칙
성경은 “사람이 무엇을 심든지 그대로 거두느니라”(갈 6:7)라고 선포합니다. 우리 인생은 ‘씨 뿌리기와 수확의 원칙’ 속에서 이루어집니다. 농부가 수확하려면 씨앗을 뿌려야 하듯이 우리 인생 역시 가정, 직장과 사업장 그리고 대인 관계 등의 밭에 좋은 씨앗을 뿌려야 합니다. 농부가 씨 뿌리리가 귀찮아 펑펑 놀게 된다면 그 어떤 수확을 기대할 수 없게 됩니다. 평생 기다려도 쌀 한 톨을 얻지 못할 게 분명합니다. 수확하고자 한다면 씨를 뿌려야 한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정해 놓으신 법입니다. 행복을 거두고자 한다면 행복의 씨를 뿌려야 합니다. 즉 다른 사람에게 행복을 선물해야 합니다. 재물의 복을 받고자 한다면 하나님의 나라와 누군가에게 재물의 씨앗을 뿌려야 합니다. 사랑의 수확을 하고자 한다면 사랑의 씨앗을 뿌려야 합니다. 이삭의 시대 때에 무시무시한 기근이 있었습니다. 이삭은 이 때 어떻게 했습니까? 창세기 26장 12절입니다. “이삭이 그 땅에서 농사하여 그 해에 백 배나 얻었고 여호와께서 복을 주시므로.” 이삭이 그 극심한 흉년 중에도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씨앗을 뿌렸습니다. 궁핍할 때에 누군가가 자기를 도와주는 것을 기다리지 않았습니다. 혹은 아무것도 안하고 하늘만 쳐다보지 않았습니다. 이삭은 씨앗을 뿌렸습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을 믿고 믿음으로 씨았을 뿌리니 하나님께서 기적의 손길을 펼쳤습니다. “백 배”나 거두게 하셨습니다. 오늘날에도 여러 종류의 기근이 우리를 찾아옵니다. 물질의 기근, 건강의 기근 그리고 환경의 기근 등이 찾아 옵니다. 우리는 그런 기근에 눌려서 포로가 되거나 혹은 불평과 원망으로 살아가지 말아야 합니다. 이삭처럼 하나님의 도우심을 믿고 우리가 원하는 좋은 씨앗을 뿌려야 합니다. 시편 기자는 선포합니다. “어려운 때 일수록 여호와를 의뢰하여 선을 행하라”(시 37”1-3). ‘하나님, 하나님을 믿습니다. 제 필요한 모든 것들을 채워 주세요’ 라고 기도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 같은 행동은 씨앗을 뿌리지 않고 수확을 기대하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는 인생의 기근 속에서도 우리가 원하는 수확을 할 수 있도록 씨앗을 뿌려야 합니다. 물질의 수확을 얻고자 한다면 물질의 씨를 뿌려야 합니다. 하나님의 선한 일에 그리고 나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도움의 손을 펼쳐야 합니다. 건강의 복을 수확하고자 한다면 하나님을 섬기는 일에 내 몸을 사용해야 합니다. 외롭다 하지 말고 밖으로 나가서 누군가의 친구가 되어 주어야 합니다. 우리는 어려운 상황을 오히려 씨앗을 뿌릴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불평과 원망을 하는 대신에 우리가 어떤 씨앗을 뿌려야 하는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잊지 말아야 합니다. 열매를 거두고자 하십니까? 그 열매를 위해 내가 먼저 씨를 뿌려야 합니다. 언제나 씨앗을 뿌리는 일이 우선입니다.
2025
섬김과 기적
하나님은 그의 구원을 이루고자 하실 때 반드시 일꾼을 부르십니다. 예루살렘 교회를 섬기도록 세움을 입은 스데반은 사도가 아니지만 큰 기사와 표적을 행했습니다. 하나님께서 그의 교회를 섬기도록 그런 은혜와 권능을 주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해 주신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영원한 생명을 주시고자 함입니다. 다른 하나는, 하나님의 나라를 세워가고자 함입니다. 그래서 성도는 하나님의 일꾼이요 하인으로서 하나님과 그의 교회를 섬기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장차 하나님 앞에 서는 날, 성도로 부름을 입은 상급을 받도록 하나님의 일꾼으로서 섬김의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섬김의 삶을 살아가는 성도들에게 은혜와 권능을 부어 주셔서 그의 구원이 이루어지게 하십니다. 중국 지하 교회의 두 자매는 초신자에 불과했지만 성령께서 인도하시는 대로 복음을 전하자 교회가 없는 지역에 13개 교회를 세울 수 있었습니다.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었느냐 는 물음에 “우리는 그냥 기도했습니다. 기도하면서 성령님께 여쭈었습니다. ‘저희가 무엇을 할까요?’, ‘어떻게 할까요?’ 그리고 성령님께서 가르쳐 주신 대로 했습니다” 라고 두 자매는 대답했습니다. 초신자에 불과했지만 하나님의 일꾼으로서 살아가고자 했을 때 어느 전문 사역자도 할 수 없는 놀라운 사역의 열매를 거두었습니다. 성령께서 그들과 함께 하시고 그들에게 은혜와 권능으로 채워 주시니 그런 놀라운 구원의 열매가 맺어졌습니다.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없어도 ‘내가 하나님의 하인이다’ 라는 사실을 깨닫고 그 일을 이루고자 하는 소원을 갖고 섬겨 나갈 때 하나님께서는 기적과 표적을 가져오는 권능을 부어 주십니다. 성도는 마음 속에 이런 소원을 갖고 살아가야 합니다. ‘어떤 경우에도 나는 그리스도 안에 거하리라. 그리고 예수님의 종으로서 내게 명령하신 그의 뜻을 행하리라’. 우리에게 분부하신 예수님의 명령이 무엇입니까? 예수님을 증거하여 영혼 구원의 열매를 맺는 것이며 또한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며 확장하는 일입니다. 성도는 예수님의 종으로서 삶의 현장에서 하나님과의 나라를 섬겨야 합니다. 특별히 하나님 교회의 지체로서 각자에게 주어진 사명을 행함으로 드러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런 일꾼에게 은혜와 권능을 부어 주십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하나님의 일꾼으로서 받은 바 사명에 충성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일꾼의 사명을 깨닫고 그 사명을 행하는 사람을 사용하십니다. 기적의 주인공이 되게 하십니다. 맡겨 주신 일에 섬김의 삶을 살아가는 성도가 귀한 성도요, 행복한 성도입니다.
2024
가장 소중한 공동체, 교회
이 땅 위에서 가장 중요한 공동체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보혈로 사신 ‘교회’ 입니다. A.W. 토저 목사님은 교회를 이렇게 정의헸습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어린 양의 신부여, 성령을 통해 하나님께서 거하시는 곳이요, 진리의 기둥과 기초이다. 개교회는 속량 받은 사람들의 공동체요, 소수자들의 그룹이요, 이 땅에 거하는 천상의 무리요, 타국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군대요, 주인의 명령에 따라 일하는 추수꾼들이요, 선한 목자를 따르는 양떼요, 동일한 마음을 가진 형제단이요,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드러내는 눈에 보이는 대표단이다.” 안타깝게도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교회를 이야기할 때 ‘사역’이나 ‘프로젝트’의 관점에서 말을 합니다. 그런 것은 교회의 외형적인 면을 보기 때문입니다. 참된 교회는 영적인 면에서 바라봐야 합니다. 교회는 초자연적이며 또한 신적입니다. 참된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과 성령님과의 교통을 갖고 있습니다. 예수 그리그도의 생명과 성령과의 교통이 없다면 그 교회는 ‘하나님의 교회’가 아니라 ‘종교적 혹은 사회적 단체’에 불과합니다. 그런 교회는 예배는 단지 하나의 예식에 불과하며, 설교는 도덕적 강의이며 그리고 기도와 헌금은 자기 과시에 불과합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보혈로 세워진 믿음의 공동체이기 때문에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의 역사가 드러나야 합니다. 동시에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이 실천되어야 합니다. 믿음을 드러내고자 한다면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배우는 방법외에는 없습니다. 그래서 참된 교회는 하나님 말씀의 중심이어야 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말씀이 각 성도의 신앙의 표준 잣대가 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에서 벗어난 믿음은 그 모양이 어떠하든 절대로 믿음이 아닙니다. 모양만 있는 가짜 믿음입니다. 아울러 참된 교회는 이 하나님의 말씀 즉 진리를 지켜나가는 공동체입니다. 거짓 진리가 난무하는 이 세상에 참 진리로써 빛을 비추는 공동체가 되어야 합니다. 교회는 진리를 믿는 믿음을 사랑이라는 그릇에 담아야 합니다. 즉 성도의 믿음은 주님께 대한 사랑으로 채워져야 합니다. 믿음과 사랑은 별개의 삶이 아니라 함께 하는 삶입니다. 개 교회 성도들이 이런 삶을 살아가게 해 주는 힘을 주시는 것은 성령님 이십니다. 그래서 참된 교회는 성령님과의 교통이 있는 교회입니다. 내 안에 계신 성령님을 인정하고, 그가 인도하는 대로 순종하는 삶을 살아갈 때 성령님과의 교통이 이루어집니다. 그 교통을 통해 성령님의 권능이 성도 안에 흘러들어 오게 되어 성도가 마땅히 보여야 하며 또한 살아가야 하는 삶을 살아가게 해 줍니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사랑과 성령님과의 교통 그리고 하나님의 말씀이 있어야 합니다. 바로 그 교회 안에 하나님의 나라가 세워지는 것입니다.
2024
예수 그리스도
<예수 그리스도> 세상에는 다양한 종교들이 많이 있지만 공통점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give and take’ 입니다. 잘 하면 복을 받고, 못하면 벌을 받거나 혹은 착하면 천국 가고, 악하면 지옥에 간다는 원칙입니다. 즉 나 자신의 공로에 의하면 죽음 이 후의 삶이 결정됩니다. 그런데 기독교는 전혀 다릅니다. 기독교에 있어서 구원은 철저히 하나님의 주권입니다. 인간은 무능한 존재입니다. 롬 3:10-12절이 선포합니다.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깨닫는 자도 없고 하나님을 찾는 자도 없고 … 선을 행하는 자는 없나니 하나도 없도다.” 나의 공로가 아니라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신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로 구원을 받습니다. 오늘날 ‘예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으로 세상이 떠들썩 합니다. 논점은 ‘예수는 신인가 아니면 뛰어난 사상가인가?’ 입니다. 성령 충만함을 입은 베드로는 예수님은 사상가가 아니라 하나님이심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22절입니다. “하나님께서 나사렛 예수로 큰 권능과 기사와 표적을 너희 가운데서 베푸사 너희 앞에서 그를 증언하셨느리라.” 예수님께서 행하신 모든 기적들은 그가 하나님이심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골 1:15-16절입니다. “그는 보이지 아니하는 하나님의 형상이시요 모든 피조물보다 먼저 나신 이시니 만물이 그에게 창조되되 하늘과 땅에서 보이는 것들과 보이지 않는 것들과 혹은 왕권들이나 주권들이나 권세들이나 만물이 다 그로 말미암고 그를 위하여 창조되었고.” 사도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는 모든 만물의 창조자요, 다스리시는 하나님 되심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 이시기 때문에 권능과 기사로 죄악으로 잘못된 인생을 능히 회복시켜 주시는 것입니다. 또한 고쳐 주십니다. 예수님께로 오면 못 고칠 질병이 없습니다. 예수 그리스도께로 오면 건강한 인생, 행복한 인생, 의미와 가치가 있는 인생 그리고 하나님께서 본래 정해 놓은 아름다운 인생으로 고쳐지고 회복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인생 속에 예수님을 모셔야 합니다. 예수님께서 우리의 허물과 죄를 대신하여 대속의 죽음을 해 주셔서 하나님과 우리 사이에 막힌 담이 허물어지고, 원수였던 우리가 하나님과 화목하게 되어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은혜의 자리에 들어가게 된 것입니다(골 1:21-22). 우리 스스로 구원을 할 수 없는 무능한 자들이기 때문에 하나님이신 예수님께서 스스로 사람이 되어 주셔서 우리 죄를 없애 주시고 생명의 길로 이끌어 주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무엇보다도 해야 할 일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붙드는 것입니다. 나의 주와 구주로서 믿는 것입니다. 성령의 충만함을 입어 예수님의 증인이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