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하지 말라’는 하나님의 복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하지 말라’고 하면 싫어합니다. 그리고 ‘하지 말라’ 고 하면 더 하려고 기를 씁니다. 하나님께서는 그의 말씀을 통해 많은 것들을 하지 말라고 명령을 하십니다. 하나님께서 모세를 통해 주신 율법에 따른 명령은 613개입니다. 해야 할 것은 248개. 하지 말아야 할 것이 365개입니다. 하지 말라는 명령이 하라는 명령보다 더 많습니다. 우리에게 하지 말라는 하나님의 명령은 단순한 제약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자유를 제한하려고 하는 의도가 아닙니다. 오히려 우리의 안전과 복을 위해 그리고 영원한 생명과 삶을 위해 ‘하자 말라’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자유 의지를 주셨을 뿐만 아니라 우리 삶을 다스리는 능력과 지혜를 또한 주셨습니다. 그래서 사람과 동물 간의 차이점들 중의 하나는 사람은 삶에 대한 기준을 갖고 있다는 점입니다. 동물은 본능으로 판단을 내리지 어떤 기준이 있어 판단을 내리지 않습니다. 오직 사람만이 삶의 기준을 갖고 그 기준에 근거하여 판단을 내리며 살아갑니다. 그래서 모든 사람은 자신의 판단에 따라 행동을 했으니 자신의 행동에 자신이 책임을 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그의 말씀 뿐만 아니라 양심을 모든 사람에게 주셨습니다. 그래서 사람은 양심에 근거하여 살아갈 때 창조주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욕심을 좇아 살아가는 바람에 양심을 버리고 살아갑니다. 그 바람에 스스로 사람 됨을 포기하고 짐승처럼 살아갑니다. 그리고 스스로 자신의 인생을 망치는 우를 범하며 살아갑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을 받아 하나님의 자녀가 된 성도는 성경에서 가르치고 있는 것처럼 금지된 것을 피하는 것이 자신에게 좋은 것임을 깨닫고 살아가야 합니다. ‘하지 말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고집과 아집을 버려야 합니다. 어리석음과 교만을 버려야 합니다. 알러지 반응을 보이지 말아야 합니다. 성경의 ‘하지 말라’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고자 하시는 복의 통로입니다. 단지 그 복의 통로가 좁을 뿐입니다. 하지만 좁더라도 들어가야 합니다. 미워하지 말라고 하시니 사랑해야 합니다. 탐욕을 버리라고 하시니 가진 것에 만족해야 합니다. 불평 말라 하시니 감사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하지 말라’하면 안 해야 합니다.
2025
예수님을 깊이 생각하는 신앙
히브리서 기자는 성도는 ‘예수를 깊이 생각하며 바라는 삶’을 살아가야 한다고 선포합니다. 우리들이 예수님을 깊이 생각하고 바라보기 위해서는 세 가지의 삶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첫째는, 성령 충만한 삶입니다. 성령의 다스림이 없이는 바른 신앙 생활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둘째는, 성장의 삶입니다. 자라지 않는 나무는 죽은 나무이듯이 성장하지 않는 신앙은 죽은 신앙에 불과합니다. 성도는 예수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까지 성장하도록 애쓰고 노력하며, 배우고 확신하는 데에 거해야 합니다. 셋째는, 성숙의 삶입니다. 하나님께서 온전하신 것처럼 우리도 온전해야 하며 성숙한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합니다. 오늘날 세상은 육신의 눈을 빼앗는 것들이 너무나 많아서 예수님을 바라보는 눈을 갖고 살아가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안타깝게도 오늘날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사팔뜨기 눈으로 살아갑니다. 한눈으로는 예수님을, 다른 한눈으로는 이 세상의 것들을 바라보기 때문에 기형적인 눈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 눈에는 이런 기형적인 눈 혹은 시각이 보이지만 정작 본인 자신은 자신의 눈을 바라볼 수 없기 때문에 기형적인 눈과 시각으로 살아가고 있는 것을 깨닫지 못합니다. 바른 눈으로 삶을 바라보지 못하니 자연스럽게 하나님의 뜻과는 정반대의 삶을 살아가게 됩니다. 비뚤어진 믿음, 비뚤어진 생각과 자세로 살아갑니다. 이도 저도 아닌 어정쩡한 삶으로 살아가서 내 안에 계신 성령님을 근심하게 만듭니다.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뜻을 제대로 보지 못하니 자기 뜻대로 살아갑니다. 마치 사사 시대의 사람들처럼 말입니다. 바른 신앙은 자기의 지식, 경험, 방법 그리고 사고 방식 등을 예수님께 복종시켜야만 이루어지게 됩니다. 쉽게 말하면 예수님 앞에 자기 전공을 잊어버려야만 예수님께 순종하게 됩니다. 베드로는 갈릴리 바다에서 살아온 전문 어부였습니다. 고기 잡는 것에 베테랑이었습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 깊은 데에 그물을 던지라는 말씀에 자기 전공을 접었습니다. 예수님의 말씀에 순종했습니다. 밤새 헛수고한 일에 대한 보상을 받았습니다. 무엇보다도 자신이 죄인이었음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예수님께서 물 위로 걸어오라고 말씀하셨을 때 베드로는 자신의 경험을 예수님께 내려 놓았습니다. 그 결과로 그는 물 위를 걷게 되는 기적의 사람이 되었습니다. 예수님을 깊이 생각하고 바라보는 영적 비결은 자신의 전공을 내려 놓아야 합니다. 그리고 예수님을 깊이 생각하고 바라보는 신앙이 우리 삶 속에 하나님의 은혜가 흐르게 만들며 또한 구원의 열매들이 맺어지게 됩니다. 마귀는 하루에도 숱하게 우리의 마음을 차지하려고 듭니다. 우리 마음의 주인이 되려고 공격을 합니다. 오직 예수님을 깊이 생각하는 것만이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키게 됩니다.
2025
베푸는 삶
사도 바울이 에베소 교회 장로들에게 한 설교를 통해 성도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를 우리는 알게 됩니다. 사도행전 20장 35절입니다. “범사에 여러분에게 모본을 보여준 바와 같이 수고하여 약한 사람들을 돕고 또 주 예수께서 친하 말씀하신 바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복이 있다 하심을 기억하여야 할지니라.” 우리가 주먹을 움켜쥐고 있으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복을 주실 수 없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베푸시기를 기뻐하시는 분이시기 때문에 그의 백성들 역시 베푸는 삶을 살아가는 것을 기뻐하십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을 그의 복의 통로로서 삼으십니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믿음의 조상으로 삼으신 후에 이런 복을 선포하셨습니다. “너는 복의 근원이 될지라.”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그의 복의 통로로 삼으셨습니다. 아브라함을 향한 하나님의 거룩한 목적이었습니다. 이렇듯 베푸는 삶은 하나님께서 정하신 영적 법칙입니다. 우리가 베푸는 삶을 살아갈 때 그 베푸는 선이 우리에게 되돌아오게 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베풀 때 하나님께서 그대로 갚아 주십니다. 잠언 기자는 선포합니다. “가난한 자를 불쌍히 여기는 것은 여호와께 꾸이는 것이니 그 선행을 갚아 주시리라”(19:17).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의도와는 달리 ‘에이, 나도 힘든데 뭘 도울 수 있어’ 등으로 자신만을 챙기는 삶을 살아갑니다. 그런데 이는 잘못된 생각입니다. 우리는 자신의 현재 처지에 상관없이 베푸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우리가 지금 가진 것으로 열심히 베풀면 하나님께서 분명히 더 많은 것을 우리에게 맡기십니다. 우리에게 여유가 생길 때까지 기다릴 것이 아니라 지금 당장 베푸는 태도를 길러야 합니다. 누군가가 나를 도와주도록 기다리는 삶 보다는 내가 먼저 손을 펼쳐주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물질만이 도움이 아닙니다. 시간을 내주거나 들을 귀를 빌려줘도 좋습니다. 격려의 손길과 말도 좋습니다. 우리가 작은 사랑의 손길을 펼쳐도 상대방이 살아갈 힘을 얻거나 용기를 갖게 될 지 누가 알겠습니까? <천로역정>의 저자 존 번연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 뭔가 베풀기 전까지는 오늘을 제대로 살았다고 말할 수 없다.”
2025
씨 뿌림의 법칙
성경은 “사람이 무엇을 심든지 그대로 거두느니라”(갈 6:7)라고 선포합니다. 우리 인생은 ‘씨 뿌리기와 수확의 원칙’ 속에서 이루어집니다. 농부가 수확하려면 씨앗을 뿌려야 하듯이 우리 인생 역시 가정, 직장과 사업장 그리고 대인 관계 등의 밭에 좋은 씨앗을 뿌려야 합니다. 농부가 씨 뿌리리가 귀찮아 펑펑 놀게 된다면 그 어떤 수확을 기대할 수 없게 됩니다. 평생 기다려도 쌀 한 톨을 얻지 못할 게 분명합니다. 수확하고자 한다면 씨를 뿌려야 한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정해 놓으신 법입니다. 행복을 거두고자 한다면 행복의 씨를 뿌려야 합니다. 즉 다른 사람에게 행복을 선물해야 합니다. 재물의 복을 받고자 한다면 하나님의 나라와 누군가에게 재물의 씨앗을 뿌려야 합니다. 사랑의 수확을 하고자 한다면 사랑의 씨앗을 뿌려야 합니다. 이삭의 시대 때에 무시무시한 기근이 있었습니다. 이삭은 이 때 어떻게 했습니까? 창세기 26장 12절입니다. “이삭이 그 땅에서 농사하여 그 해에 백 배나 얻었고 여호와께서 복을 주시므로.” 이삭이 그 극심한 흉년 중에도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씨앗을 뿌렸습니다. 궁핍할 때에 누군가가 자기를 도와주는 것을 기다리지 않았습니다. 혹은 아무것도 안하고 하늘만 쳐다보지 않았습니다. 이삭은 씨앗을 뿌렸습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을 믿고 믿음으로 씨았을 뿌리니 하나님께서 기적의 손길을 펼쳤습니다. “백 배”나 거두게 하셨습니다. 오늘날에도 여러 종류의 기근이 우리를 찾아옵니다. 물질의 기근, 건강의 기근 그리고 환경의 기근 등이 찾아 옵니다. 우리는 그런 기근에 눌려서 포로가 되거나 혹은 불평과 원망으로 살아가지 말아야 합니다. 이삭처럼 하나님의 도우심을 믿고 우리가 원하는 좋은 씨앗을 뿌려야 합니다. 시편 기자는 선포합니다. “어려운 때 일수록 여호와를 의뢰하여 선을 행하라”(시 37”1-3). ‘하나님, 하나님을 믿습니다. 제 필요한 모든 것들을 채워 주세요’ 라고 기도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 같은 행동은 씨앗을 뿌리지 않고 수확을 기대하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는 인생의 기근 속에서도 우리가 원하는 수확을 할 수 있도록 씨앗을 뿌려야 합니다. 물질의 수확을 얻고자 한다면 물질의 씨를 뿌려야 합니다. 하나님의 선한 일에 그리고 나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도움의 손을 펼쳐야 합니다. 건강의 복을 수확하고자 한다면 하나님을 섬기는 일에 내 몸을 사용해야 합니다. 외롭다 하지 말고 밖으로 나가서 누군가의 친구가 되어 주어야 합니다. 우리는 어려운 상황을 오히려 씨앗을 뿌릴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불평과 원망을 하는 대신에 우리가 어떤 씨앗을 뿌려야 하는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잊지 말아야 합니다. 열매를 거두고자 하십니까? 그 열매를 위해 내가 먼저 씨를 뿌려야 합니다. 언제나 씨앗을 뿌리는 일이 우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