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의 포로입니까?(1)
누구든지 인생 속에서 누군가의 혹은 무언가의 포로가 되어 살아갑니다. 그런데 인생은 누구의 포로가 되어 살아가는지에 따라서 영광 혹은 멸시, 생명 혹은 죽음, 구원 혹은 멸망으로 끝나게 됩니다. 본문 말씀 속에서 스데반은 하나님의 포로가 되는 삶을 살아가는 반면에 당시 유대교 종교 지도자들은 욕망의 포로가 되어 살아갔습니다. 거짓 신앙과 욕망의 포로로서 살아가고 있던 허물을 지적했던 스데반의 설교는 그들이 하나님께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하지만 욕망의 포로가 된 그들은 회개보다는 스데반을 죽이는 죄를 범하고 말았습니다. 다윗 왕은 나단 선지자를 통한 하나님의 경고에 철저한 회개를 했습니다. 반면에 사울 왕은 사무엘 선지자를 통한 하나님의 경고에도 계속해서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했습니다. 다윗 왕은 하나님의 포로가 되어 살고 있었기에 회개의 열매를 맺었지만, 사울 왕은 욕망의 포로가 되어 살고 있었기에 여전히 불순종의 삶을 살았습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자녀가 된 성도는 반드시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 없이는 바른 신앙 생활을 할 수 없습니다. 동시에 하나님께 대한 감정이 있어야 합니다. 눈물과 감동이 있어야 합니다. 말씀의 지식과 감정과 더불어 반드시 성도들이 갖고 있어야 하는 것은 의지 혹은 행동 입니다. 성도는 삶 속에서 하나님께 대한 지식과 감정을 행함으로 보여야 합니다. 하나님의 포로가 되어 살아가는 성도가 바로 그런 삶을 살아가게 됩니다. 하나님의 포로가 되어 살아가는 성도는 자신의 육신의 욕구를 좇아가지 않고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대로 살아갑니다. 이것이 자신의 의지를 하나님께 드리는 것입니다. 바로 그 때에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가 드러나게 됩니다. 욕망의 포로가 된 삶은 세상과 타협하며 무지개 빛과 같은 가짜를 좇다가 결국 멸망의 자리에 들어가고 마는 것입니다. 그래서 세상의 욕망의 포로가 아니라 스데반처럼 하나님의 포로가 되어 살아가야 합니다. 우리 삶을 살펴봐야 합니다. 지금 우리는 예수님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까? 아니면 세상의 그 무언가를 위해 달려가고 있습니까? 황금과 다이아몬드 사업을 통해 영국에 막대한 돈을 가져다주어 당시 영국민의 찬사를 받았던 세실 로즈는 오늘날 ‘약탈자’라는 오명 속에서 쓰레기 같은 인생으로 끝나고 말았습니다. 반면 하나님의 복음을 전한 리빙스턴은 당시에는 ‘배신자’라는 말을 들었지만 오늘날 그는 전 세계인들로부터 칭찬과 존경을 받는 하나님의 사람이 되었습니다. 어느 것이 행복한 인생입니까? 누가 행복자입니까?